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171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10.Python 기초편 연산기초 시리즈 이전글입니다. 2021/01/24 - [파이썬/주식 자동매매] -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9.Python 기초편 딕셔너리 사용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우리가 보관해서 사용하고 싶은 값이 있을 때 변수를 만들어 저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값을 저장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저장한 값을 가지고 연산을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우리가 초등과정에서 배운 수학을 프로그래밍에서도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변수 var1을 만들고 숫자 6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변수 var2를 만들고 숫자 2를 저장합니다. var1 = 6 var2 = 2 이 변수끼리 수행할 수 있는 연산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01.사칙연산 이 두 변수끼리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칙연산이 가능합니.. 2021. 1. 25.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9.Python 기초편 딕셔너리 사용 시리즈 이전글입니다. 2021/01/22 - [파이썬/주식 자동매매] - Python 키움API 주식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 - 8.Python 기초편 튜플, 리스트 사용 패킹 언패킹 지금까지 배운 문자열, 튜플, 리스트는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하는 시퀀스 자료형이었습니다. samsung_closes_tuple = (40000, 45000, 50000, 55000, 60000, 60500, 61000, 67000, 76000, 80000, 82000, 83000) samsung_closes_list = [40000, 45000, 50000, 55000, 60000, 60500, 61000, 67000, 76000, 80000, 82000, 83000] 하지만 여기서 각각 40000, 45000, 그리고 500.. 2021. 1. 24.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8.Python 기초편 튜플, 리스트 사용 패킹 언패킹 시리즈 이전글입니다. 2021/01/22 - [파이썬/주식 자동매매] - Python 키움API 주식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 - 7.Python 기초편 문자열 사용 지금까지는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만 저장했습니다. 하지만 값이 서로 연관성이 있다거나 연산의 결과를 모아야할 때는 값들의 묶음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월말 종가를 다음처럼 저장한다고 해보겠습니다. samsung_1 = 40000 samsung_2 = 45000 samsung_3 = 50000 samsung_4 = 55000 samsung_5 = 60000 samsung_6 = 60500 samsung_7 = 61000 samsung_8 = 67000 samsung_9 = 76000 samsu.. 2021. 1. 22.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7.Python 기초편 문자열 사용 시리즈 이전글입니다. 2021/01/21 - [파이썬/주식 자동매매] - Python 키움API 주식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 - 6.Python 기초편 자료형(1) Python에서 제공하는 자료형 중 문자열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문자열을 어떻게 만들까요? 문자, 숫자를 ‘(작은 따옴표) 혹은 “(큰 따옴표)를 묶으면 문자열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var1 = 1 var2 = '1' var3 = 10 var4 = "10.0" 다음처럼 var1과 var2의 차이는 작은 따옴표가 있고 없고의 차이지만 그걸로 인해서 var1은 숫자형, var2는 문자열이 됩니다. var3, var4도 마찬가지입니다. var4는 큰 따옴표를 사용해 문자열이지만 var3는 숫자 10입니다. 이렇게 따옴표.. 2021. 1. 22.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6.Python 기초편 자료형(1) 시리즈 이전글입니다. 2021/01/21 - [파이썬/주식 자동매매] -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5.Python 기초편 주석, 들여쓰기 자료형이란 데이터 타입(Data Type)을 의미합니다. 먼저 프로그래밍과 무관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1의 결과는 뭘까요? 하면 바로 2라는 답이 나올 것입니다. 그렇다면 안녕+1은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넌센스(Nonsense)인가 싶기도 하고 무엇을 하라는 것인지 몰라 1+1 문제처럼 간단히 답하기 어렵습니다. 아마 이런 문제를 보면 상식적으로 들 수 있는 생각은 “문자랑 숫자랑 어떻게 더하지?” 일 것 같습니다. 네 맞습니다. 문자랑 숫자랑 더할 수가 없기에 (+)연산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현실세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세계에서도 마.. 2021.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