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171 Python Global Interpreter Lock (GIL) 참조하기 좋은 글 Python GIL에 대한 훌륭한 글 이 보다 더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쓸 수가 없어서 링크를 남깁니다. 1.https://dgkim5360.tistory.com/entry/understanding-the-global-interpreter-lock-of-cpython 왜 Python에는 GIL이 있는가 Python 사용자라면 한 번 쯤은 들어봤을 (안 들어봤다 해도 괜찮아요) 악명 높은 GIL (Global Interpreter Lock)에 대해 정리해본다. Global Interpreter Lock 그래서 GIL은 무엇인가? Python Wiki에서는 이렇게.. dgkim5360.tistory.com 2.https://m.blog.naver.com/alice_k106/221566619995 175. [P.. 2020. 5. 24. Python으로 비트코인 승률 67% 전략, 역추세 전략 , RSI(2) 백테스팅 구현 - 2 지난글에 이어 RSI(2)를 이용한 역추세 전략을 보완할 수 있는 일종의 장치를 조금 넣어보고 수정한 코드입니다. 무엇을 추가할까 생각할 때 제일 먼저 생각난게 1. 손절라인 지난 전략은 당일 종가가 5일 이평선을 넘을 때만 매도하므로 매수한 이후 지구 멘틀까지 떨어져도 절대 팔지 않습니다. 그러니 매도 조건에 해당할 때까지(물려 있는 기간) 다른데 투자하지 못하므로 이또한 다른 투자기회를 잃어버리는 손실입니다. 또 전략의 원리 자체가 큰 폭락 이후 반등을 기대하는 방식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반등이 없다면 끝없는 하락이 이어질 수도 있기에 나와야된다고 생각해 손절라인을 넣었습니다.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게 매수후 1.5% 떨어질 때 무조건 청산 합니다. 사실 그 수치가 1.5이어야 한다하는 특별한 이유.. 2020. 5. 20. Python으로 비트코인 승률 67% 전략, 역추세 전략 , RSI(2) 백테스팅 구현 - 1 추세추종 전략은 비싸게 사서 더 비싸게 팔아 수익을 남기겠다는 전략입니다. 하지만 추세추종 전략의 단점으로는 횡보장에서 누적된 손실이고 승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입니다. 추세가 계속 상승할 줄 알았으나 쉽게 꺾여버리거나 잠깐 상승하는 척하는 경우에는 손실이 누적됩니다. 실제로 주식시장의 경우 상승하는 날이 떨어지는 날보다 더 적습니다. 미국증시도 마찬가지이나 계속해서 우상향해왔던 이유는 떨어지는 횟수가 잦더라도 상승할 때 폭이 더 커왔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이렇게 상승 추세에 탄다는 것은 낮은 승률이지만 딸 때는 크게 따는 높은 손익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와 다른 전략을 흔히 역추세 전략이라고 합니다. 역추세 전략은 계속해서 가치가 떨어지는 와중에 추세가 전환되어 갑자기 상승하여 수익을 기대하는 전.. 2020. 5. 17. [selenium] selenium.common.exceptions.SessionNotCreatedException: Message: session not created: This version of ChromeDriver only supports Chrome version 83 XX Python으로 selenium 사용할 때 발생 에러 해결 방법 selenium.common.exceptions.SessionNotCreatedException: Message: session not created: This version of ChromeDriver only supports Chrome version 83 XX 위와 같은 버전 에러가 나는 이유는 selenium을 통해 실행한 webdriver 버전과 실제 내 크롬브라우저 버전이 다르기 때문 1. 현재 사용중인 크롬 버전 확인 브라우저 창에 아래 주소 입력하면 바로 크롬 버전 확인 가능 chrome://settings/help 2. 사용할 웹드라이버 버전 https://chromedriver.chromium.org/downloads Do.. 2020. 5. 10. Python 언더스코어(_)와 더블언더스코어(__) 비교 Python은 Java와 달리 접근 제한 속성(private)을 강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private처럼의 사용을 흉내내기 위해 언더스코어(_) 또는 더블언더스코어(__)을 사용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언더스코어(_, Single Underscore) 언더스코어를 사용한 변수는 프로그래머한테 private처럼 사용할테니 외부에서 접근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해당 모듈을 외부에서 참조할 경우 변수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접근 가능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under_score_test.py var1 = "hi_there1" var2 = "hi_there2" _var3 = "hi_there3" test.py from un.. 2020. 5. 4.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5 다음 반응형